공지
최신 글
최근 댓글
링크
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||||
4 | 5 | 6 | 7 | 8 | 9 | 10 |
11 | 12 | 13 | 14 | 15 | 16 | 17 |
18 | 19 | 20 | 21 | 22 | 23 | 24 |
25 | 26 | 27 | 28 | 29 | 30 | 31 |
태그
- 마크 통합 서버 버킷
- 마크
- minecraft
- 코드블록
- 마인크래프트 통합 서버 버킷
- 마인크래프트서버강좌
- 디스코드 봇 강좌
- 우분투
- 마인크래프트서버
- 디코봇강좌
- 디코 봇
- 호스팅강좌
- 마크 통합 버전 버킷
- c
- 마크서버
- 마인크래프트 리눅스 서버
- 마크서버강좌
- 디코봇
- 방화벽설정
- 디스코드봇강좌
- 디스코드봇
- 마인크래프트
- 우분투 마인크래프트 서버
- 마인크래프트 통합 버전 버킷
- 디코 봇 강좌
- 디스코드 봇
- 우분투 서버
- 강좌
- C++
- 프로그래밍
글 보관함
- 오늘
- 전체
코학의 개인 블로그
[DFR]통합 서버 관리 가이드 - 공유기 설정[iptime] 본문
자신의 기본 게이트 웨이를 인터넷 주소에 칩니다
기본 아이디:admin
기본 비번:admin
입니다. 로그인해주시길 바랍니다.
로그인 하시면 이렇게 보입니다.
'관리도구'를 클릭해주세요.
처음으로는 포트포워드를 설정할겁니다.
'NAT/라우터 관리'->'포트포워드 설정'을 눌러주세요.
'새규칙'을 클릭해주세요.
그리고 원하시는 규칙이름과
현재 접속된 ip주소를 넣어주시고
외부포트와 내부포트를 25565(마크 기본 포트)로 해주세요.
이후 '적용'을 누르시면 포트포워드 설정은 끝입니다.
두번째로는 DMZ를 설정할겁니다.
'NAT/라우터 관리'->'DMZ / Twin IP 설정'을 눌러주세요.
DMZ를 클릭해주시고
이후 내부 ip주소를 적어주시고
이후 '적용'을 누르시면 DMZ 설정은 끝입니다.
세번째로는 내부 네트워크를 설정할겁니다.(내부ip고정)
'네트워크 관리->'내부 네트워크 설정'을 눌러주세요.
현재 접속된 pc를 클릭한후 추가를 누르시면
내부 네트워크 설정은 끝입니다.
이렇게 공유기의 모든 설정을 끝 마쳤습니다.
'[개발자]DFR-마인크래프트 > MineCraft-Server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DFR]통합 서버 관리 가이드 - server.properties 설정 (2) | 2020.04.18 |
---|---|
[DFR] 통합버킷 1.0.0-1.16.2 까지의 모든 버전 가능 / 모든 자바 지원 (8) | 2020.04.18 |
[DFR]통합 서버 관리 가이드 - 자바다운로드 (0) | 2020.04.17 |
[DFR]통합 서버 관리 가이드 (1) | 2020.04.13 |
[DFR]통합 서버 관리 버그 및 오류 제보 (3) | 2020.04.13 |
Comments